For The Others!

남을 위해 희생하신 예수님의 삶!

웃음,해학/기타문서들

[스크랩] Re:SC-88 시리즈 사양비교

woodsmell 2011. 12. 5. 11:37
 
      윈맥스 프로와 음원모듈 SC-88ST pro

 

 

 

 

 

 
 
윈맥스 프로와 음원도듈 SC-88ST pro 장착했습니다.
공구는 도라이바 한 개면 충분하겠습니다.

1. 모듈 : SC-88STpro
(사용설명서 다운로드 -일본어)

윈프로의 음원 설계 사양은 SC-88PRO 이지만 
SC-88STpro는 88PRO 에서 엘시디 창과 버튼키 및 전원 장치를 없앤
보급형 동일 사양으로 만들었지요.. 사이즈도 작아져 
반주기로 쓰기에는 손색이 없다보니 우리나라에서는 PRO보다 비싼적도 있다더군요...
(SC-88VL 사양도 가능하지만 음색 사양이 약간 적습니다)  
*음량 볼륨이 달려 있음.
*전면에 16*2 채널 작동 엘이디 전구가 있어 연주시 해당 캐널이 깜박거립니다.
*노트북 연결시 뒷면 미디  설명 ; PC2  


2. 노트북 :
센스 640 노트북 (싸구려 중고) 12인치입니자. 14인치로 대충 알고 샀더니
12로 와서 그냥 쓰기로 했지요. P3-500, 198MB, 6기가, CD,플러피, usb, 랜 ,,,,,, 등 
XP프로로 깔려 왔길래 센스 복구 CD로
다시 98깔고 아예 다른 프로그램은 안깔았습니다.  인터넷과 윈프로, VSC만 됩니다.
악보 지연 하나도 없구 다운되지 않습니다. 
신규곡 다운 등은 직접 인터넷에 연결해도 되지만 다른 컴에서 usb 메모리에 다운 받아 
깔고 있습니다. 
* 윈맥스의 장점 : 락키만 있으면 윈맥스 프로그램을 2,3 ..컴에 깔수 있지요.
저도 집, 사무실 1,2 컴, 아들 노트북 ,, 연습실 노트북 에 윈맥스 다 깔고 키만 들고 다니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집에서는 88VL 모듈 사용)

* 윈맥스프로 설정 방법 (ALT-0 (제로) 를 누르고..)
SC-88PRO호환모듈
SC-88Pro, SC-88STPro, SC-8820, SC-8850, SK-88Pro

SC-88PRO호환 모듈사용시에는 설정을 별도로 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SC-88호환모듈
SC-88, SC-88VL, SC-88ST

SC-88호환모듈 사용에만 <ALT-0>메뉴의 음원 설정항목에서  음원모듈의 종류(110번) 을 SC-88로 바꾸면 됩니다.



3, 모듈케이스
모듈 케이스는 요기서 파는 정상품입니다. 모듈, 노트북이 따~악 맞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모듈 밑바닥에 고무발 고정 나사가 있는데 이걸 풀고 그 나사로 고정시키면 맞게 됩니다.
나사가 매우 짧은데 불편하다고 큰 나사 끼우면 모듈 내부의 기판을 손상시킬수 있으므로 
매우 조심해야합니다.
노트북 전원 아답터도 내장되어 외부전원선 한개로 깔끔하게 처리 되었습니다.
오디오선 연결은 인, 아웃 맞추어 하면 바로 끝이 납니다.
모듈의 아답터는 내장시키기 위해 소형 아답터을 별도  구입했습니다.  
노트북과 프로젝트와 연결가능하지만 센스 640은 외부 TV에 연결하는 SVHS잭이 있더군요 ..
앞으로 TV에 연결하여 복지관 등에서 노래방 기능을 많이 쓸려합니다. (케이스에 TV잭은 없음)
사이즈는 뒷부분 단자부분 포함한 전체크기 310 X 310 X 80 입니다.
높이는 단자부분의 돌출된 부분까지의 높이이며 노트북 깊이 31cm 까지 장착 가능합니다.
 

4. 케리어 가방
가방은  마침 공구 가방으로 쓰던 놈이 있길래 딱 맞아   쓰고 있는데 완전 맞춤이었습니다.
안에 고정띠와 스폰지로 되어 있어 너무 딱 맞습니다. 


5.연주기 받침대 
색소폰 나라 공구품입니다. 모듈 케이스에 잘 맞습니다. 
 
 
6. SC-88와 SC-88PRO (ST) 음원 모듈 사용에 따른 비교 (윈맥스 홈페이지 참조)
 
질문1. 원래 원음 채널보다 연주 채널이 줄어 듭니까? (연주 안되는 악기(음색)이 있습니까?)
 88계열 모듈은 모두 32채널을 사용하므로 줄지 않습니다. 연주안되는 음색도 없습니다.

 

질문2. 88PRO 모듈의 음색이 88에 맞게 변환되어 전 채널 연주가 됩니까?  
   88pro는 88모듈의 상위모델로서 88모듈에 없는 음색이 있기때문에
   88모듈로 설정할 경우 자동으로 맞는 음색으로 변환되어 연주됩니다.

 

질문3. 88사용시 같은 악기 그룹에서 음색만 달라 지나요?   (원음 대비)
 그렇습니다.
질문하신 사항 이외에 88pro에는 Insertion effect라는 기능이 추가 되어 있어서 프로맥스2, 윈맥스pro용 곡은 이 기능을 활용하여 제작됩니다.
윈맥스pro의 경우 초기 버전에 88모듈 부터 지원하지 않고 88pro모듈급부터 지원을 하였던 핵심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이펙트를 활용한  곡의 경우 88pro로 사용할 경우와 88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하여 보면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만 같이 비교하지 않을 경우에는 곡에 따라서 큰 차이를 느낄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많은 종류의 반주기를 다루어 보시고 앰프와 믹스등의 음향시스템의 설정을 하실 수 있는
분일수록 차이를 많이 느끼실 수 있습니다만
반주기를 처음 접하시는 분께서는 시스템의 설정상태에 따라 큰차이로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타사의 반주기 중 88모듈을 사용하거나 사용 가능한 반주기는 88모듈을
기준으로 곡 작업하기 때문에 88모듈보다 상위모델인 88pro호환모듈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88pro모듈의 특징인 이펙트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됩니다.

참고로 88pro의 음색이 대부분 88보다 업그레이드 되어 좋은 느낌을 주지만 일부의 음색은
88의 음색이 더 좋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연결방법 (쓰는 장치마다 다를수 있음)  

 

  1. 기기들과 연결하기전에 반드시 전원을 끄세요.

    - 추가 부품 : 아답터 (9볼트,  800mA, 극성반대형), 컴퓨터 연결 RS-232C 시리얼 케이블   

    - 컴프터 연결시 보통 PC-2 로 한다,. (38.4K) 

    - 시리얼 드라이버 (인터넷 다운 )

 2.  앰프 볼륨을 최소로 해둔다..

 3. PC 의 전원을 넣는다. (부팅이 완료되면..)

 4. 음원 모듈 (88..) 의 전원을 켠다.  (주의 : 음원 모듈의 전원을 먼저 넣으면 외부 장치로 인식되어 에러 가능성...)  

 5. 주변 미디  장치의 전원을 넣는다.

 6. 앰프의 전원을 넣는다..

 7. 윈맥스의 usb락을 꼽고 윈맥스 가동~  (주의 : 키락을 먼저 꼽으면 외장하드로 인식될수 있음)

 

 ** 사용 중지의 경우 **

  1. 앰프의 볼륨을 최소화 한다.

  2. 앰프를 먼저 끈다.

  3. PC를 끈다.

  4. SC-88..  과 미디 전원을 끈다.

  5. 키락을 제거~

 

   * 전원 순서 : 컴퓨터 → 모듈 → 앰프→ usb 락 장착 → 연주 ....완료 → 앰프 전원 off → 컴퓨터 off → 모듈 off → usb키 탈거

 

 


<참고> SC-88 사양  ( 출처   http://cafe.naver.com/hanamsaxophone  )

 

● 파트수:32
● 최대 동시 발음수:64음
● 본체 메모리:음색 맵=2(SC-88, SC-55)
                        pre-set 음색수=654
                        드럼 음색 세트=24, (SFX 세트=2 포함)
                        유저 음색수=256
                        유저 드럼 음색 세트=2
● 이팩터:리버브(8 종류), 코러스(8 종류), 딜레이(10 종류), 2 밴드·이퀄라이저
● 디스플레이:70.6 x 24.5mm LCD(백라이트)
● 접속 단자:MIDI 단자(IN A, IN B Front/Rear, OUT/THRU, 오디오·input 2(스테레오),
                     input 볼륨 손잡이, 오디오·out put 2(스테레오), 헤드폰·잭, 시리얼·단자,
                     컴퓨터 선택 스위치
● 전원 : AC
● 소비 전력:13W
● 외형 치수:218(W)× 250(D)× 72(H) mm
● 중량:2.6kg

 

SC-88 구성
32파트/ 64보이스/ 654 음색/ 24 드럼셋/ SC-55/55mkII map 포함
256 USER SOUNDS/ 2 DRUM Sets
Tone Edit/Computer I/F / 2 MIDI IN/ 1 Thru/Out Midi Port

전면 조작 판넬
[ ALL / MUTE / SC-55MAP / EQ버튼은 ON/OFF 로 설정합니다. ]
㉮ ON/OFF ( 옆에 있는 조그만한 램프가 켜지거나 또는 꺼집니다. )
㉯ SELECT ( 선으로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의 램프가 선택 되거나 꺼집니다. )
㉰ DELAY ⓛ VIB RATE / / ATTACK
㉱ INSTRUMENT ② VIB DEPTH / CUTOFF / RESONANCE
㉲ VARIATION ③ ATTACK / DECAY / RELEASE

───────────────────────────────────────

ALL과 PART의 선택

SC-88의 모든 조절은 두가지 모드로 이루어 집니다.
ALL단위와 PART단위가 그것인데, 먼저 ALL버튼을 눌러 봅니다.
불이 켜진 경우 ALL단위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고
다시 한번 눌러 불을 껐을 경우 PART단위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ALL단위로 작업할 경우 사용되는 기능 (ALL버튼의 불이 켜진 경우)

마스터 볼륨
LEVE버튼으로 조절하며, 전체적인 볼륨을 조절할 때 쓰입니다. 설정 범위는
0 - 127이고 초기값은 127입니다.

마스터 팬(PAN)
PAN버튼으로 조절하며, 전체적인 PAN을 조절할 때 습니다.
( PAN : 스피커 좌우 이동 ) 설정 범위는 Left63 - 0 - Right63 이고 초기 값은 0입니다.

마스터 Key
KEY SHIFT버튼으로 조절하며, 전체적인 키(반음을 올리거나 내릴때)를 조절할 때
쓰입니다. 설정범위는 -24 - 0 - +24이고 초기 값은 0입니다.

뮤트(All Mute)
MUTE버튼를 눌러 불이 켜지게 하면 모든 소리가 없어집니다. 초기값은 OFF입니다.

SC-55사운드(All SC-55MAP)
SC-55MAP버튼을 눌러 불이 켜지게 하면 모든 채널의 악기가 SC-55의 악기로로 바뀌 게
됩니다. SC-88모드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SC-55모드로 제작된 미디파일을 들을때는
이렇게 설정하고 들어 보세요. 초기값은 OFF입니다.

이퀄라이저 ON/OFF (ALL EQ)
SC-88에 새롭게 추가된 이팩터인 EQUALIZER의 사용 여부를 지정해 줍니다.
초기값은 ON입니다.

PART단위로 작업하는 경우 (ALL버튼의 불이 꺼진 경우)

악기 선택
"먼저 ALL버튼의 불을 꺼야 합니다." PART, 즉 채널을 PART버튼을 사용하여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 INSTRUMENT버튼을 이용하여 악기를 선택합니다.

PART :
채널과 같은 말로 음악의 이동 통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16채널을 지원하지만
SC-88의 경우 32채널을 지원합니다. SC-88에선 A01-A16 PART와
B01-B16PART로 나누어 2PORT로 관리됩니다.

INSTRUMENT :
SC-88에 내장된 악기를 나타내며 미디악기는 모두 번호로써 악기들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Ex. 001 Piano 1 002 Piano 2 ) 이렇게 하여 128가지의 고유 악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고유 악기 속에는 또 다시 바레이션 악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레이션 악기 선택
바레이션 악기를 선택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음색 에디팅 버튼 부분에 있는 VARIATION버튼(사캔 외형 그림 확인)을 이용하는
방법과 INSTRUMENT버튼을 동시에 눌러 바레이션 선택 모드로 바꾸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A01 001 Piano 1

음색 에디팅 버튼 부분의 바레이션 버튼으로 바레이션 악기 선택하기

A01 008/Piano 1w  -> A01 001+Piano 1w

설명 : 바레이션 악기의 번호가 8번이고 1번 고유 악기에 포함된 바레이션 악기임을
나타냅니다.

SC-88 악기의 구조

001 000 Piano 1

 

- 고유악기 번호

008 Piano 1w

 

- 번호 008인 바레이션 악기

016 Piano 1d

 

- 번호 016인 바레이션 악기

002 000 Piano 2

 

 

008 Piano 2w

 


001번인 고유악기는 008번과 016번 두개의 바레이션 악기를
포함하고 있다. 

드럼셋 선택하기
88은 24가지 드럼셋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타모듈에 비해 막강한 드럼셋을 가지고있죠.
보통 10번 채널이 기본으로 드럼 채널로 할당되어 있는데 다른 채널을 드럼 채널로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드럼셋을 선택하기위해 파트버튼으로 10번 채널 을
선택하십시요.

A10 001*STANDARD 1 라고 액정화면에 표시 됩니다.
(단 초기화한 상태일 경우만 해당합니다.)
위의 표시는 10번 채널이 드럼셋 채널임을 의미하기도 하고 드럼셋의 이름이
STANDARD 1 이며 그것의 번호가 001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INSTRUMENT버튼을 눌로 보면 드럼셋의 이름이 바뀌고
드럼셋의 번호도 바뀐다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드럼 셋의 경우도 일반 악기처럼 번호가 있습니다. 하지만 바레이션 음색은 없습니다.

파트별로 볼륨 바꾸기
앞에서 알아 보았던 마스터 볼륨은 전체적인 볼륨값의 변화를 주기 위한 거였지만
ALL버튼을 OFF한 상태에서 레벨의 변화를 주면 해당 채널의 볼륨만 바뀝니다.
불륨을 바꾸고 싶은 채널을 PART버튼으로 선택하고 LEVEL버튼을 사용하여
볼륨을 조절하면 됩니다.

파트별 팬과 파트별 키
파트별 볼륨과 같은 방법으로 PAN버튼 혹은 KEY SHIFT를 이용하여 바꿀 수 있습니다.

PAN :
L63-0-R63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에 출력되는 비율을 지정하는 것인데 SC-88은
이 외에도 Rnd를 지원합니다. L63에서 키를 한번 더 누르면 액정 화면에
Rnd라고 표시 됩니다. 이건 SC-88이 임의의로 왼쪽 오른쪽 으로 내 보내기 때문에
곡에 좋은 효과를 줄 수도 있습니다.

파트별 뮤트(MUTE)
앞에서 알아보았던 뮤트는 SC-88에서 흘로 나오는 모든 소리를 제거해 버리지만
파트별 뮤트는 사용자가 뮤트시키고 싶은 채널만 뮤트시킬 수 있습니다.
이기능은 두가지 모듈을 한꺼번에 이용할때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어느 특정한 채널만 빼고 곡을 듣고 싶을 때 활용됩니다.
먼저 PART버튼을 사용하여 뮤트시킬 채널을 선택하여 MUTE버튼을 눌러
불이 들어 오게 하면 됩니다.

파트별 SC-55MAP / 파트별 EQ ON OFF
SC-55버튼도 파트별 뮤트와 똑같은 방법으로 지정해 주면 됩니다.
사용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사람이 듣기엔 SC-88의 MUSIC BOX소리보다 SC-55의 MUSIC BOX소리가 더좋습니다.
MUSIX BOX를 쓰는 채널만 SC-55모드화 해 놓고 싶을때 활용하면 되겠죠?
파트별 EQ또한 똑같습니다. EQ는 SC-88에서 새롭게 추과된 이팩터입니다.
뒤에 자세히 설명됩니다.

파트 모니터
파트 모니터는 선택된 채널의 소리만 듣고 싶을때 쓰는 기능입니다.
듣고 싶은 채널을 PART버튼으로 선택하고 ALL버튼과 MUTE버튼을 동시에 누르시면
됩니다. 해제시킬 때도 같은 방법입니다.

그밖의 기능
위에서 드럼 채널을 10번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에서도 할당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제 그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죠. ALL버튼을 OFF한 상태에서 PART버튼으로 채널을
선택하고 PART버튼을 동시에 같이 눌러 봅니다. 화면에
ALL>Part Mode: Norm이라고 써집니다.

INSTRUMENT버튼을 눌러 봅니다.
그러면 Norm / Drum1 / Drum2
등으로 바뀌게 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버튼을 눌러 보세요.
(▼버튼은 EQ버튼입니다. 참고로 ▲버튼은 SC-55MAP버튼입니다.) 또 다른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그것들은 대체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것들이기에 여기에선 다루지 않겠습니다.
다만 참고적으로...
Bend는 피치휠에 관한 건데 초기값으로 놔두는게 듣기에 좋고,
Mod. Depth는 모듈레이션의 흔들림의 정도인데 역시 초기 값으로 놔두는게 좋습니다.
직접 고쳐보며 자신에게 맞게 고치는 것도 권해 보고 싶군요.

───────────────────────────────────────

이 팩 터

전자 악기가 좋은 점 중에 한가지는 이팩터라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맘대로 넣을수 있는 효과야 말로 전자 악기의 매력 아닐까요?

REVERB
리버브를 영어 사전을 이용하여 찾아 보면 잔향이라고 뜻이 나와 있습니다.
잔잔하게 남는 음향을 뜻하지요. REVERB이팩터도 마찮가지입니다.
잔잔하게 여음이 남게합니다.
이것 역시 모든 파트에 적용될 수 있게 하기도 하고 특정한 채널에만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모든 채널에 적용시키기 위해선 위에서 배웠듯 ALL버튼에 불만 들어 오게 하면 됩니다.
여기에선 특정한 채널에만 적용되는 REVERB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PART버튼을 이용하여 리버브 이팩터를 주기 위한 채널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REVERB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치로 맞춰 줍니다.

여기서 한가지...

REVERB뿐만 아니라 LEVEL KEY SHIFT... 등등... 모든 이팩터나 그밖의 값들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을 동시에 눌러 보세요. 그러면 파트별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수치들이
그래프화 되어 그려져 나옵니다. 물론 그 상태에서도 PART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수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시 정상 상태로 돌아 오려면 전에 눌렀던 버튼을 다시 한번 동시에 눌러주면 됩니다.
음악을 잘하려면 하드웨어를 잘 알아야 합니다.

CHORUS / DELAY
CHORUS이팩터는 조금 흔들리는 듯한 느낌도 주고 두꺼워진 느낌도 주는 이팩터이지요.
사용 방법은 리버브와 동일합니다.
'딜레이'라는 단어가 '연기하다'라는 뜻처럼 DELAY이팩터는 건반을 친후 0.X초 후에
다시 몇차례 건반이 쳐지는 효과가 냅니다. 일종의 ECHO효과라고 할까요?
사용 방법 역시 리버브와 같습니다. DELAY이팩터는 음색 에디팅 부분에 있는
DELAY버튼를 이용 합니다.

그런데... 이런 이팩터 종류도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리버브는 리버브데로, 코러스는 코러스데로 또 딜레이는 딜레이데로
자신만의 형(Type)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부터 Effect Type들에 관하여 알아 보도록 하죠.

이팩터 타이프 선택
ALL버튼을 ON한 상태에서 PART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다시 ▼버튼를 눌러
이팩터 타이프에 관한 기능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INSTRUMENT버튼으로 이팩터 타이프를 변경합니다.

REVERB TYPE

리버브 타이프에는 8가지가 있습니다.
Room1 Room2 Room3 Hall1 Hall2 Plate Delay Panning Deley가 그것인데,
초기값은 Hall2입니다.

Room

Room 은 한정된 공간에서 소리가 울리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이팩터로 조금은 약한 느낌이 드는 리버브입니다.
Romm?의 ?자리의 숫자가 커질 수록 강하게 작용합니다.

Hall

Hall은 Room보단 더 강하게 여음을 남겨줍니다.

Plate

Plate는 조금 약한 리버브로 평평한 듯한 느낌의 여음을 남겨주고,

Delay

Delay는 여음이 메아리처럼 울립니다.

Panning Deley

Panning Deley 는 Delay와 비슷하나 패닝(출력이 좌우로 흔들림)
효과를 주어 한층 멋진 음악을 만들 수 있도록 해 줍니다.

CHORUS TYPE
코러스 타이프 역시 8가지입니다.

CHORUS1

CHORUS1은 비교적 비교적 약한 코러스이고,
CHORUS?의 ?자리 숫자가 커질 수록 강하게 작용합니다.  

FEEDBACK

코러스는 다시 돌아오는 듯한 느낌(?)이 드는 코러스이고

FLANGER

FLANGER은 피드백보다 강한 이팩터이지요.

SHORT DELAY

SHORT DELAY코러스는 짧은 딜레이 효과가 나는 코러스이고,

SHORT DELAY(FB)

SHORT DELAY (FB)는 SHORT DELAY보다 조금 강하고 억센(?)
느낌을 주는 코러스입니다.

DELAY TYPE
딜레이 타이프는 10가지 입니다. 초기 값은 DELAY1입니다.
비교적 DELAY1은 딜레이 시간이 짧고 DELAY2.3은 비교적 딜레이 시간이 길지만
DELAY4는 반대로 DELAY1보다도 딜레이 시간이 짧습니다.
PAN DELAY1 .2 .3. 4 역시 DELAY1.2.3.4과 같지만 패닝이 됩니다.
한층 곡을 멋있게 꾸밀 수 있겠죠? DLY TO REV는 조금 건조한 느낌(?)이 들고
역시 패닝이 됩니다. 또 뒤에 잔향이 남습니다.
PANREPEAT는 가면 갈수록 딜레이가 더 강해지죠.

SC-88에는 이렇게 많은 종류의 이팩터가 있습니다. 잘만 활용하신다면
더 좋은 곡이 나올 수 있겠죠?
그밖에 더욱더 세밀한 것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버브 타임이라든지
하는 것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죠. 하지만 여기선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시퀀서에서 콘트롤 94에 의해 딜레이값이 조절 가능합니다. 참고하세요.

EQ
이젠 88을 구입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이팩터인 이퀄라이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사운드 캔바스를 "빵빵"한 악기로 만들어 주는 이팩터입니다.

1

 

먼저 ALL버튼을 눌러 불이 들어 오게 합니다.

2

 

음색 에디팅 버튼이 있는 곳의 SELECT버튼을 누릅니다.

3

 

액정화면에 GAIN +-0 +-0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옆에 있는 DELAY버튼을 눌러보세요. 그럼 FREQ 200 3K로 변합니다.
맞습니다. SC-88은 2밴드(GAIN/FREQ) 이퀄라이저를 지원합니다.
DELAY버튼을 사용하여 GAIN과 FREQ을 선택합니다.

4

 

먼저 GAIN값을 변경해보죠. 음색에디팅부분에 있는 INSTRUMENT버튼과
VARIATION 버튼을 이용합니다.
INSTRUMENT버튼은 GAIN인나 FREQ의 고음 값을 변화시켜줍니다.
물론 VAIATION버튼은 저음값은 변화시켜 주겠죠?

5

 

DELAY키를 눌러서 FREQ값도 같은 방법으로 변화시켜 봅니다.
참고로 FREQ값의 고음값은 200과 400 저음은 3K 6K두가지로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6

 

SELECT버튼을 눌러 설정을 마칩니다. EQ는 전체적으로 먼저 맞추어 놓고
채널별로 나중에 ON/OFF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앞에서 활용법은 언급했으니 넘어도록 하죠.
아마 EQ값을 모두 최대로 하고 곡을 들으시면 깜짝 놀랄 정도로 "빵빵"할 것입니다.

───────────────────────────────────────

그밖의 기능

이젠 그밖에 알아야 할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죠.

IN B SELECT
SC-88의 뒷면을 보면 IN A와 IN B가 있습니다.
물론 32채널을 위해 IN단자가 두개있다는 것 쯤은 모두 아시겠죠?
그런데 SC-88의 전면에 있는 IN B단자는 무엇일까요?
분명히 멋으로 저렇게 안이쁜 걸 달아 놓았을 리는 없고...
SC-88은 IN B단자를 두개 지원합니다.
악기와의 연결의 편이성을 위함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두개를 동시에 사용할 순 없습니다.
이 두개의 단자는 REAR(후면) / FRONT(전면)로 구분하는데 둘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 방법은 뒤에서 설명합니다.

OUT/THRU
SC-88의 이상한 점이라고 하면 OUT과 THRU단자가 하나로 모아져 있다는 걸 들 수 있죠.
그래서 구분 시켜 줘야 합니다. 초기값은 OUT입니다. 역시 선택 방법은 뒤에서 설명합니다.

InMode

위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SC-88은 32채널 지원을 위해 두개의 IN단자가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으로 IN A는 A01-A16채널 IN B는 B01-B16채널로 관리 되게 되어 있는데
이것 역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변화시킬 수 있는 종류는 IN A는 A01-16, IN B는 B01-B16으로 관리되는
스탠다드 방식이 있고, IN A가 B01-B16, IN B가 A01-A16로 관리 되는 엇갈림 방식,
IN B IN A를 A01-A16에 합쳐주는 방식 또는 B로 합처주는 몰아넣기'방식 등이 있습니다.
(필자가 말을 지었습니다.)

그 밖의 기능
그 밖에도 PREVIEW NOTE(SC-88의 볼륨 조절기를 눌러 보면 현재 선택된 악기 소리가
나옵니다. 그 소리의 음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초기값은 사람이 듣기에 가장 좋다는 A4입니다.
PREVIEW VELOCITY, DISPLAY TYPE(디스플레이의 종류),
PEAK HODL, LCD CONTRAST(액정화면 밝기),
BACK UP ON/OFF등이 있습니다

사용 방법
위의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EQ버튼과 SC-55MAP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다시 ▲ ▼버튼으로 각 기능을 선택하여 INSTRUMENT버튼으로 값을 설정합니다.
직접 실습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BULK DUMP

덤프는 현재 SC-88의 내용을 시퀀서 프로그램에 백업
(더 자세히 말해 미디 신호로 OUT시킬 때 쓰는 기능입니다.)할 때 씁니다.
사용자가 직접 에디팅한 음색이나 드럼 셋등을 익스 신호로 저장할 수 있죠.

ALL버튼을 눌러 불이 켜지게 한 후 INSTRUMENT버튼을 동시에 누릅니다.
그러면 액정 화면에 DUMP ALL, SURE? 라고 써집니다.
여기서 INSTRUMENT버튼을 눌러 봅니다. ALLALL U로 바뀝니다.
다시 INSTRUMENT을 눌러봅니다. U-INST/U.DRUM/GS A/GS B/등으로 바뀝니다.
ALL은 SC-88의 모든 내용을 OUT단자를 통해 밖으로 내 보내는 것이고 ALL U는 모든
유저 음색과 드럼셋을, U-INST는 유저 음색만, U-DRUM은 유저 드럼만... 등을
OUT단자를 통해 내 보내지요. 받는 시퀀서에 대해선 시퀀서 메뉴얼을 참조 하세요.
참고로 케이크 워크의 경우엔 익스 메뉴에서 리시브로 해 놓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의하실 점은 OUT/THRU는 꼭 OUT으로 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전송을 시작하려면 ALL버튼, 취소하려면 MUTE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디스플레이의 문자 바꾸기

ALL버튼을 눌러 보면 '-SOUND Canvas-'라는 글자가 자랑스럽게 폼을 잡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에 따라 폼 잡고 있는 글자가 기분 나쁠때도 있죠.
SC-88은 자상하게도 글자를 바꾸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ALL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PAN과 CHORUS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수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커서 이동은 PART버튼, 문자는 INSTRUMENT버튼과 ALL버튼 ▲,▼버튼을
이용하고 MUTE버튼은 스페이스입니다. 글씨를 이쁘게 다 쓰셨으면 다시 PAN과
CHORUS를 동시에 눌러 주면 됩니다. (쓴 글자는 리셋하기 전까지 유효합 니다.)

32파트를 ALL버튼 누르지 않고 보기
32파트 모두를 보려면 ALL버튼을 꼭 눌러야 하는가? 그건 아닙니다. 악기 에디팅 버튼에서
INSTRUMENT과 VARIATION버튼을 동시에 눌러 주면 됩니다. 해제도 같은 방법입니다.

싱글 모드와 더블 모드
싱글 모드는 보통 모드입니다. 즉, SC-88자체가 모듈 하나이니깐 모듈 하나로 취급 하라는
모드입니다. 기본값이지요. 그런데 더블 모드는 주제넘게(?) 모듈 하나가 모듈 두개를
흉내내는 모드입니다. 정말 주제 넘는 모듈이죠? SELECT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KEY SHIFT버튼을 누르면 싱글모드, 버튼을 누르면 더블 모드입니다.
ALL은 OK고, MUTE는 NO입니다.

리셋과 CM-64
SC-88을 리셋하려면 SELECT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INSTRUMENT(윗부분)버튼을 동시에
누르시면 됩니다 역시 ALL은 OK, MUTE는 NO입니다.
GS음색들만 리셋하고 싶고 GS모드로 돌아 가고 싶으면 SELECT+INSTRUMENT버튼,
GM모드는 SELECT+PART버튼 ,
그리고 CM-64맵으로 바꾸는 것은 SELECT+INSTRUMENT버튼입니다.
CM-64에 대해선 다루지 않습니다.

그림그리기
우리는 곡을 만들 때 자신만의 멋진 로고를 넣고 악기에 세겨 두고 싶을 때가 있죠.
물론 요즘은 프로그래머님들의 두뇌가 엄청나서 프로그램으로 사운드 캔바스에 그림을
그리거나 심지어는 문자까지...
물론 프로그램으로 하면 편하긴 하지만 여기에선 SC-88자체로 그림을 그려 익스 신호로
시퀀서에 전송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색 에디팅 버튼 부분의
DELAY버튼과 INSTRUMENT버튼을 동시에 누릅니다. 그러면 화면이 이상하게
변해 버립니다. 바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거죠.
윗부분엔 FrameDraw:Page 1 이라고 씌여져 있는데 SC-88은 총 10페이지까지
지원한 답니다. 그럼 그림을 그려 볼까요?  
커서의 이동은 PART버튼과 ▲▼버튼(SC55MAP/EQ)을 사용합니다.
페이지 이동은 INSTRUMENT버튼입니다. SC-88의 그림은 페이지 단위로 그려집니다.
그리고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시퀀서에 전송할때는 꼭 1페이지에 있는 그림만 전송이 됩니다.
커서를 점을 찍고 싶은 곳에 이동시켜 놓고 ALL버튼을 누르세요.
그러면 점이 찍어 진답니다. 그리고 MUTE버튼을 누르면 지워지지요.
커서의 크기도를 설정할 수 있는데 CHORUS버튼을 이용합니다.
또 그림 자체를 왼쪽이나 오른쪽 또는 위 아래로 움직일 때는 LEVEL버튼과 PAN버튼을
이용합니다. 실습을 꼭 해 보셔야 쉽게이해됩니다.
그럭저럭 그림을 하나 그렸다면 이제 익스신호로 컴퓨터의 시퀀서에 옮겨 볼까요?
먼저 시퀀서가 익스를 받을 수 있는 모드로 만들어 놓습니다.
그리고 SC-88의 INSTRUMENT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됩니다.
화면에 TRANSMITTING... 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익스 신호로 바뀌어 시퀀서에 전송이
됩니다. 이젠 페이지를 바꿔서 작업을 해 볼까요? INSTRUMENT버튼으로 2페이지로
페이지를 바꿉니다. 그리고 아무렇게 그림을 그려 봅니다. 다시 TRANSMIT시킵니다.
끝나면 1페이지로 돌아오고, 넘겨 줬던 익스 신호를 이젠 받아 봅니다. 1페이지에서
그렸던 그림은 잘 나오는데 2페이지에서 그린 그림은 나오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네에~ 사캔은 1페이지에 대해서만 처리합니다. 꼭 이점 유의하셔서 그림을 그리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왜 10페이지를 지원하냐구요? 그건 그림을 쉽게 그리기 위해서 입니다.
복사를 해 놓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럼 페이지를 복사하는 기능을 살펴 볼까요?
( 이해가 조금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실습을 한번만 해보시기 바랍니다. )
KEY SHIFT버튼을 눌러 보면 COPY TO PAGE !?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은 임의의 숫자입니다. 1부터 10까지의...) 복사하고 싶은 페이지를
INSTRUMENT버튼으로 선택하고 ALL버튼을 누르면 완료 됩니다.
페이지를 지우는 것은 MIDI CH버튼이고 방법은 같습니다.
또 페이지를 추가하는 버튼은 REVERB버튼이며 역시 사용법은 같습니다.

────────────────────────────────────────

음색 에디팅

전자 악기의 강점이라고 하면 음색 에디팅을 빼 놓을 수 없죠. 자기 맘대로 기존의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것, 이것 또한 전자 악기를 다루는 이유라 할 수 있겠죠?
SC-88은 쉬운 음색 에디팅을 지원합니다. 실습을 많이 해보고 꼭 SC-88을 정복하기
바랍니다.

일반 악기의 에디팅
SC-88의 일반 악기 음색 에디팅은 아랫부분의 세가지 종류의 버튼으로 이루어 집니다.
먼저 ALL버튼을 눌러 OFF시켜 줍니다. 에디팅하기위한 악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음색 에디팅 버튼 부분의 ON/OFF버튼을 눌러 조그만한 램프에 불이 들어 오도록
만듭니다. 이제 음색 에디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됐습니다.

Vibrato

가장 윗부분의 ▷램프의 불이 켜져 있을 때 조절되는 값입니다.

VIB RATE

 

떨림의 길이을 지정해 줍니다.

VIB DEPTH

 

떨림의 정도를 지정해 줍니다.

VIB DELAY

 

떨림이 시작하기 전의 길이을 지정해 줍니다.

참고. VIB RATE값은 모듈레이션과 관계가 있습니다. 값이 높을 수록 모듈레이션의
떨리는 속도도 빨라 지죠.(모듈레이션은 CONTROL 1번입니다.)
VIB DEPTH값 역시 모듈레이션과 관계가 있습니다.
- 말로는 표현이 조금 어렵군요.
직접 값에 변화를 주면서 소리의 차이를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

Filter
중간 ▷램프에 불이 켜져 있을 때 조절되는 값입니다.
이것은 소리의 질을 완전히 바꿔버리는 무서운 에디팅입니다.
 

CUT OFF -

 

이것은 어떤한 음색 하나가 위의 그림처럼 이루어져 있다고 할때
어떤 부분부터 어떤 부분까지의 음색만 들리게 하여,
소리의 질이 완전히 바뀌는 에디팅입니다.

RESONANCE-

 

반향을 증가 시켜 줍니다.

Envelope

 

음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

가장 아랫부분의 ▷램프가 켜진 상태에서 조절되는 값들입니다.

Attack Time -

 

처음 건반을 쳤을때 볼륨이 올라가 최고점에 닿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지정해 줍니다.
스트링과 슬로우 스트링을 서로 비교해 보면 이해가 쉬울듯.

Decay -

 

건반을 눌렀을때 볼륨이 최고 점에 닿고 조금은 내려오는데,
내려오는 시간(간격)을 지정해 줍니다.

Release -

 

건반에서 손을 떼면 악기 소리도 멈추지요. 멈추기 시작하여 소리가 완전히 없어지는 간격을 조절합니다.
이 부분은 스스로 직접해 조절해 보면서 이해하기 바랍니다.

이렇게 음색을 모두 에디팅했다면 저장을 해야 합니다. 이제 저장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죠. 저장하기 위해서 ON/OFF버튼과 SELECT버튼을 동시에 눌러 줍니다.
그러면 Write UI 64/001? 라고 표기됩니다.

여기서 한가지 알아야 할 게 있습니다. 바로 유저 악기인데요.
이 글 맨 처음 SC-88 소개 부분을 보면 256가지 유저 악기를 내장하고 있다는
부분이 있습니다. 유저 음색은 바레이션 음색으로 64번과 65번 입니다.
사용자가 저장을 하지 않을때는 64번은 SC-55의 고유악기이고
65번은 SC-88의 고유악기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임의의로 64번나 65번을 선택해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다시 위의 화면을 볼까요?
64/001 에서 64는 바레이션 번호이고 001은 고유 악기 번호입니다.
저장하고 싶은 고유 번호를 먼저 INSTRUMENT버튼으로 설정하고
다시 INSTRUMENT버튼을 동시에 눌러 바레이션 번호를 설정하고
ALL버튼을 눌러 줍니다. 이렇게 사용자가 임의의로 저장한 음색은
SELECT+INSTRUMENT를 눌러 ALL셋업시키기 전까지는 유효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음색을 시퀀서 등에 백업 시킬 수 있는데 DUMP부분을 참조하세요.

드럼셋의 에디팅 [주의 : SC-88VL은 동작되지 않습니다]
드럼셋의 에디팅을 위해 먼저 PART버튼으로 드럼 채널을 선택합니다.
에디팅하고 싶은 드럼셋을 INSTRUMENT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SELECT버튼과 DELAY 버튼을 동시에 누릅니다.그러면 SC-88의 액정화면에
AD1 001 C3 Hi.Tom 2 라고 표기 됩니다. (실제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AD1은 A파트의 드럼셋 1번임을 뜻합니다. 파트 버튼을 눌러 봅니다.
AD1이 BD1로 바뀝니다. 즉 B파트의 드럼셋 1임을 뜻합니다.
001은 드럼셋의 번호입니다. 여기선 001번이니 STANDART 1이 되겠죠?
C3 Hi.Tom2는 드럼셋의 노트와 그 노트에 해당하는 악기의 이름이 Hi.Tom 2임을
뜻합니다. 그러면 INSTRUMENT을 이용하여 에디팅하고자 하는 노트를 선택합니다.
물론 노트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악기이름은 바뀌게 됩니다.
선택을 했나요? PREVIEW버튼(볼륨조절기)을 눌러 보세요.
그러면 그 노트에 해당하는 소리가 납니다. 이제 에디팅을 시작할까요?
한가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노트가 A2인 악기를 예로 들겠습니다.

A2 MidTom
레벨 116 팬 L 6
리버브 127 코러스 0
피치 60 딜레이 0

이건 초기값이 위처럼 되어 있는 악기입니다.
드럼셋 에디팅은 일반 악기 에디팅과는 달리 레벨, 팬 , 리버브, 코러스, 피치, 딜레이를
고쳐서 악기의 소리를 고친답니다. 그리고 코러스 수치가 표시되는 곳에 딜레이도 함께
표시됩니다. 피치는 기존의 KEY SHIFT버튼을 사용합니다.
직접 변화를 주며 실습을 해 보기 바랍니다.
이제 이렇게 에디팅한 드럼셋을 저장해 볼까요? 물론 유저 드럼셋에...
맘에 안들었던 드럼셋의 악기를 에디팅했다면 ON/OFF버튼과 SELECT버튼을 동시에
눌러 줍니다.그러면 화면에 AD1 Write UD A2/65? 라고 표시됩니다.

여기에서 65는 사용자 드럼셋이 될 번호입니다. 사용자 드럼셋은 65번과 66번 두개입니다.
알맞은 것을 선택하고 INSTRUMENT버튼을 동시에 눌러 노트를 바꿀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노트를 선택하고 ALL버튼을 누르면 완료됩니다. 이렇게 하면
65번이라는 유저 드럼셋에 사용자가 만든 악기는 딱 한가지 악기만 존제합니다.
다른 악기도 이런식으로 저장하면 훌륭한 드럼셋이 될 것입니다.
(어쩌면 이상한 드럼셋이 될지도...)
여기서 한가지...
65번과 66번은 유저드럼셋입니다. 그런데 텅빈 상태가 아니고 둘다 가득차있는 상태입니다.
하나는 STADARD 1 하나는 SC-55의 STANDART 1, 이것은 비교적 많이 쓰이기에
이렇게 기본적으로 채워 놓고 자신이 고치고 싶은 음색만 다시 덮으라는 의미이지요.
그러나 이 경우는 STANDARD 1의 악기 몇개가 맘에 안들 경우는 좋겠지만
내가 좋아하는 JAZZ셋의 악기중 몇개 정도만 고쳤으면 좋겠다고 생각될 때가 있다면...(?)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JAZZ악기 전체를 65번이나 66번 유저드럼셋에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복사하고 싶은 알맞은 드럼셋을 선택하고 SELECT버튼과 DELAY버튼을
동시에 눌러 다시 VARIATION버튼을 동시에 누릅니다. 그리고 복사하고 싶은 유저드럼셋을
선택하면 되죠. 또 드럼셋의 이름은 모두 바꿀수가 있습니다.
PAN버튼과 CHORUS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이름을 바꿀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앞부분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출처 : 색소폰을 그대에게
글쓴이 : 산다랑 원글보기
메모 :